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

부동산 개발사업 사업수지 이해하기_지출 지난 글에서 부동산 개발사업 사업수지의 수입 부분을 살펴보았는데요, 오늘은 부동산 개발사업 사업수지의 지출 부분에 대해 글을 써볼까 합니다. 각 항목별 기준과 비율은 사업의 용도별, 각 지자체별, 조례별로 상이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려요. 부동산 개발사업 사업수지의 지출 부동산 사업수지의 지출, 즉 사업의 비용에는 다양한 항목과 요소로 구성됩니다. 주요 부동산 사업수지의 지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토지 - 토지매입비 : 실 지급비용(사유지, 국공유지 별도구분), 총 매입면적으로 계산합니다. (주의 : 가설계만 보고 사업면적으로만 계산사면 안되고 제척부지로 계산해야 합니다.) - 취득세 : 취득세(토지대2%)+농특세(취득세10%)=2.2% - 등록세 : 등록세(토지대2%)+교육세(등록세20%)=2.. 2023. 11. 15.
부동산 개발사업 사업수지 이해하기_수입 부동산 개발사업 사업수지는 크게 해당 사업의 수입과 지출 그리고 두 항목의 차이인 이익으로 구성됩니다. 즉, 총 수입과 총 지출을 비교하여 결정되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사업수지가 양수인 경우 해당 부동산 개발사업은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반대로 사업수지가 음수인 경우 해당 부동산 개발사업은 손실을 보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투자 결정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개발사업 사업수지의 작성 사업수지의 작성은 해당 부동산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주체(시행사)가 작성하며 조직의 재무팀이나 신탁사, PM에서 작성하기도 합니다. 사업수지 작성에서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익과 비용을 예측하고 분석하여야 하며, 사업의 수익성과 잠재적 리스크를 고려하여 작성하여야 .. 2023. 11. 14.
부동산 개발사업의 추진구조 부동산 개발사업은 땅이나 건물 등 부동산 자산을 개발하여 가치를 향상시키는 사업을 말하며, 새로운 건물이나 주택을 건설하거나 기존의 부동산을 개선하여 가치를 창출합니다. 좁은 의미로는 부동산(토지와 정착물)을 상품으로 만들어 분양하는 경제 활동을 말하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추진구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개발사업의 목적 부동산 개발사업의 목적은 부동산의 가치 창출과 더불어 부동산 개발을 통한 경제적인 이익 도모와 사회 및 경제 발전에 이바지 하는 것으로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치 창출 및 가치의 향상 부동산 개발을 통해 부지나 건물의 가치를 높여 잠재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부동산 자산의 가치를 향상시킴으로써 투자자에게 수익을 가져다 줍니다. · 사회 및.. 2023. 11. 13.